아이들끼리의 소소한 싸움은 성장과 배움의 한 과정이에요.
아이들은 싸우면서 자란다는 말이 있습니다. 다툼은 갈등상황에서 자기 생각을 주장하는 방법과 타인의 입장에 공감하는 방법을 배워가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공동체 생황에서 꼭 필요한 배려와 협력적인 의사소통 능력 또한 갈등 상황을 슬기롭게 해결하는 과정에서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의 폭력 대처법 및 지도방법
폭력적인 모습에 대한 지도방법
폭력은 절대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가르쳐 주세요.
어떤 부모님들은 "친구가 욕하면 너도 가만있지 마!", "친구가 때리면 맞지만 말고 너도 때려!"라고 가르치기도 합니다. 그러나 폭력은 절대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부모님이 폭력만큼은 절대 사용하면 안된다는 분명한 기준을 세워주어야 합니다. 언어적 폭력도 신체적 폭력과 마찬가지로 절대 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아이들은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세요.
아이들은 무언가 자신이 고통스럽거나 마음이 힘들면 화를 내고, 친구들을 때리거나 욕을 하게 됩니다. 만약 아이의 폭력적인 행동만 보고 무작정 야단을 치면 화나고 속상한 아이의 마음은 어떨까요? 아마도 더 반항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할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폭력적인 행동 자체를 탓할 것이 아니라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아이의 마음을 먼저 읽어주어야 합니다.
많이 속상했구나?
네가 속상한 건 알아.
네가 하고 싶은 것을 못해서 화났지?
그래도 화가 난다고 해서 이러면 안되는 거야.
우선 화를 가라 앉혀봐.

폭력적인 모습을 목격했을 때에는 이렇게 지도해 주세요.
공격적인 행동을 즉시 중단시켜 주세요.
아이가 다른 아이를 때리는 경우 즉시 그 행동을 중단시키고 아이가 화를 가라앉힐 수 있게 사람들과 떨어진 곳으로 데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아이에게 화를 내서는 안 됩니다.
함께 해결 방법을 찾아보세요.
아이의 말을 들은 후, 아이에게 화가 나는 감정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폭력적인 방법으로 화를 표현하는 것은 안된다고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때리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었는지 질문해 보세요. 이때 아이가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다면 대안을 제시해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네가 화난 건 잘 알겠어. 화날 수도 있는 일이고,
그런데 화난다고 해서, 친구를 발로 차거나 때리는 것으로
화를 표현하면 친구가 다칠 수 있어. 친구를 때리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
진심으로 사과를 하게 합니다.
바람직한 대안을 찾은 후에는 맞은 아이에게 사과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자신의 행동이 잘못된 것임을 깨달은 아이는 자연스럽게 친구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할 것입니다.
참고출처 : 경기도교육청
2025.03.15 - [교육 정보] - 초등학생 기본생활습관 1편: 건강한 습관 만들기
초등학생 기본생활습관 1편: 건강한 습관 만들기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아이는 새로운 환경과 많은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학교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런 습관들은 아이가 학교
add.vision1098.com
2024.11.19 - [교육 정보] - 때리고 공격적인 아이, 대처 하는 방법
때리고 공격적인 아이, 대처 하는 방법
어린이집에 가면 다양한 아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이 한 곳에 모이기 때문에 여러 모습을 볼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행동들을 볼 수 있습니다. 흔하게
add.vision1098.com
2024.11.19 - [교육 정보] - 아이의 감정조절에 도움이 되는 활동과 놀이
아이의 감정조절에 도움이 되는 활동과 놀이
의사소통이 어려운 어린 시기에는 답답한 마음에 아이가 공격적이거나 때리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완화하기에 좋은 활동으로 감정조절을 할 수 있는 것들인데요.영유아가 감
add.vision1098.com
2025.03.17 - [교육 정보] - 부모와 자녀 갈등 대화법
부모와 자녀 갈등 대화법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갈등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이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더욱 돈독해질 수도, 반대로 멀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은 부모와
add.vision1098.com
'교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학준비, 안전한 학용품 구매 체크리스트 (0) | 2025.03.22 |
---|---|
초등 2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 연계 도서 리스트 (0) | 2025.03.21 |
초등학생 기본생활습관 3편, 바른 식습관 기르기 (0) | 2025.03.21 |
아이 감정표현 지도법, 올바른 대처 방법 (0) | 2025.03.20 |
초2, 1학기 국어활동 교과서 연계도서 목록 (0) | 2025.03.20 |